<프랏차야 핀통: 내일을 돌보는 오늘>, 환상통은 거울로 치료한다

 

<내일을 돌보는 오늘> 포스터

 

 



아무리 인상 깊은 전시더라도 모든 내용을 기억할 순 없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만 정제되어 남고 나머지는 휘발된다. 시간이 지나 쓰는 리뷰에는 더더욱 그런 재미가 있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전시가 나에게 더 큰 울림과 의미가 있었는지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프랏차야 핀통: 내일을 돌보는 오늘 | March 28 - May 26, 2024

바라캇 컨템포러리는 오는 3월 28일부터 5월 26일까지 태국 출생 작가 프랏차야 핀통의 국내 첫 개인전 《내일을 돌보는 오늘 Today will take care of tomorrow》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서로 다른 사회,

barakatcontemporary.com

 

 

 

내일을 돌보는 오늘

 

<...>

 

밤하늘의 별, 혹은 불꽃놀이처럼 보이는 이 작품은 복권을 팔고난 뒤 남은 골판지라고 한다. 반투명한 빛 무리 너머 보이는 세상의 보습은 검은 면과는 대조를 이룬다. 일확천금을 노렸던 사람들의 기대감을 투영하듯 반짝거리는 빛무리가 아름답게도, 허망하게도 느껴진다. 

 

 

브로큰힐 두개골과 프랏차야 핀통

 

<1은 2로 나눈 숫자(One, is the number divided by, two)>

 

브로큰힐 두개골이라는 주제를 대상으로 한 작품으로, 전시 설명만 보았을 때는 그 뒷배경이 잘 이해되지 않아 잘 와닿지 않았다. 영국 자연사 박물관, 네이처지, 해외 기사 등를 뒤적거려본 결과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브로큰힐 두개골, 출처: 영국 자연사박물관

 

브로큰힐 두개골은 1921년에 잠비아 동굴 퇴적물에서 발견된 두개골 유물이다. (다만, 비체계적인 복원 과정으로 인해 그 연도 측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네이처지) 발견 이후 런던의 자연사 박물관으로 보내져, 영국과 잠비아 간에 유물 반환과 관련된 논의가 있었다고 한다. 잠비아는 반환을 요구했지만 현재 영국이 공식적으로 소유권을 확보한 상태이다. 잠비아 루사카 국립 미술관에는 이 두개골 대신, 프랏차야 핀통이 제작한 두개골 레플리카가 전시되어 있다. 이는 두개골의 원래 위치와 역사적 맥락을 기념하는 의미를 전한다.

 

프랏차야 핀통의 레플리카

 

 

Broken Hill - Chisenhale Gallery

Chisenhale Gallery presents a new commission by Bangkok based artist Pratchaya Phinthong for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the UK. Broken Hill explores the status of the replica ‘Broken Hill’ skull in the collection of the Lusaka National Museum, Zambia

chisenhale.org.uk

 

한마디로 이 작품은 브로큰힐 두개골을 레플리카로 복제한 것으로 모자라, 한 번 더 회화로 승화한 작품이다. 결국 이 작품은 브로큰힐 두개골의 소유권 분쟁을 추적하는 프랏차야 핀통의 넓은 작업 영역을 시사하는 동시에, 복제품을 어디까지 예술로 정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1은 2로 나눈 숫자(One, is the number divided by, two)>라는 제목도, 이러한 히스토리를 알고 나면 쉽게 이해된다. 이는 브로큰힐을 2개로 나누었다는 의미일지언데, 가령 레플리카과 해당 회화작품을 일컫는 것 일수도 있고, 잠비아와 영국을 암시하는 것 일 수도 있다.

 

 

환상통은 거울로 치료한다

 

 

환상통(Phantom pain)이라는 단어에 꽂혀 있던 때가 있었다. 환상통은 신체가 이미 절단되거나 없는 상태임에도 통증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흥미로운 점은 절단 통증이 아니지만, 착란증세가 아닌 진짜 신경학적 통증이라는 것이다. 심지어 많은 신체 절단 환자들이 그 절단부가 정말로 존재하는 것 처럼 환상통을 겪는다고 한다. 그리고 환상통을 치료하는 방법 중에는 거울로 절단면을 비추어보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TED 강연의 일부, 9분부터

 

 

3 clues to understanding your brain

Vilayanur Ramachandran tells us what brain damage can reveal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celebral tissue and the mind, using three startling delusions as examples.

www.ted.com

 

 

<운명의 기관>, 출처: 바라캇 컨템포러리

 

<운명의 기관>

 

마지막을 장식한 <운명의 기관>은 환상통 치료에 쓰이는 거울을 활용한 바라캇의 커미션 작품으로 가장 인상깊었다. 절단된 냉전의 시기와 그 고통을 '환상통'에 비유하고 그 환상통의 치료제인 거울을 공중에 메단 형상이다. 거울은 dmz 생명력의 상징인 두루미의 모양, 파괴성의 상징인 스텔스 폭격기의 모양의 두 형태가 있으며, 전시 기간동안 이를 교차해 보여준다. 전쟁의 상처와 치유 과정에 있어서의 예술의 역할을 나타내는 동시에, 거울이라는 소재를 반복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전쟁에 대한 성찰적인 의미를 전하는 것 같다.

 

 

 

더 볼만한 글

 

 

<사물은 어떤 꿈을 꾸는가>, 꿈꾸는 물질의 세계

초상품의 시대 너무 많은 가공을 거쳐 원재료와 동떨어진 음식을 초가공 식품이라고 한다. 음식을 소비하기 편리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원형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그 형태와 성질이 바뀐다

notseoul.tistory.com

 

<가변하는 소장품전>, 관계 · 크기 · 장소가 만들어내는 변화의 예술

국립현대미술관#1. 전시 인사말 ‹가변하는 소장품› 전을 찾아주신 관람객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가운데 다양한 조건과 ‘가변적인’ 특징을 가진 20

notseoul.tistory.com

 

<서도호: 스페큘레이션스>, 완벽한 집을 위한 만약에

다른 세계들을 상상하게 해주는 급진적인 잠재력이 사변적 사유에 있다고 믿는다.   대학 동기들과 다녀온 . 전시 제목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느낌이라, 말 그대로 ‘사변’이라는 수식어가

notseou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