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 이어서 써보는 기초 검색 기획이다. 텍스트 전처리가 필요한 이유와 그 방식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예시로 배워보는 검색 기획 입문: 매개변수부터 검색엔진까지검색이 갑자기 궁금해진 당신에게검색 기능은 웹, 앱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하다못해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도 그놈의 돋보기는 빠지지 않는다. 이 글은 내가 검색 기획에 잠notseoul.tistory.com 검색 시스템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텍스트 전처리는 필수적인 작업이다. 검색 쿼리가 다양하고 복잡할수록 이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검색 속도가 느려지고, 결과의 정확도도 떨어질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검색기획에서 활용되는 주요 텍스트 전처리 방법을 알아보자. 1. 띄어쓰기로 분절하기문서를 검..
검색이 갑자기 궁금해진 당신에게검색 기능은 웹, 앱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하다못해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도 그놈의 돋보기는 빠지지 않는다. 이 글은 내가 검색 기획에 잠깐 관심이 생겼을 때 스터디했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검색 UX, 매개변수의 개념,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검색 엔진의 차이, 그리고 검색 엔진 알고리즘이 처리되는 방식을 문외한 수준에서 매우 간단히 설명한다.많은 시니어 서비스 기획자 분들이 온라인에 양질의 글을 남겨줌으로써 나 또한 급작스럽게 쉽게 공부할 수 있었고, 검색과 데이터 처리에 관심이 생긴 분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노션에서 블로그로 옮겨쓴다. 매개변수란?"XX = OO” XX가 매개 , OO가 변수여기서 XX는 매개변수(parameter..
국립현대미술관#1. 전시 인사말 ‹가변하는 소장품› 전을 찾아주신 관람객 여러분, 반갑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소장품 가운데 다양한 조건과 ‘가변적인’ 특징을 가진 20여점의 작품을www.mmca.go.kr 은 가변적인 특징을 가진 작품들만 한 공간에 모아둔 기획전으로, 평소 개념 미술을 좋아하면 지나칠 수 없는 전시이다. 대부분의 작품이 전시 기간 내내 변하고, 나는 전시 개막 초반에 다녀왔다. 가변 작품이란?전시를 소개하기 앞서, 가변 작품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 하고 싶다. 가변 작품은 고정된 형태나 크기를 갖지 않고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예술 작품을 의미한다. 이번 전시에서 국립 현대 미술관은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일반 회화나 조각과 달리 정확하게 크기를 잴..
아무리 인상 깊은 전시더라도 모든 내용을 기억할 순 없기에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만 정제되어 남고 나머지는 휘발된다. 시간이 지나 쓰는 리뷰에는 더더욱 그런 재미가 있다. 특히 시간이 지나면서 어떤 전시가 나에게 더 큰 울림과 의미가 있었는지 명확해지기 때문이다. 프랏차야 핀통: 내일을 돌보는 오늘 | March 28 - May 26, 2024바라캇 컨템포러리는 오는 3월 28일부터 5월 26일까지 태국 출생 작가 프랏차야 핀통의 국내 첫 개인전 《내일을 돌보는 오늘 Today will take care of tomorrow》을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서로 다른 사회,barakatcontemporary.com 내일을 돌보는 오늘 밤하늘의 별, 혹은 불꽃놀이처럼 보이는 이 작품은 복권을 팔고난 뒤..
초상품의 시대 너무 많은 가공을 거쳐 원재료와 동떨어진 음식을 초가공 식품이라고 한다. 음식을 소비하기 편리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원형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그 형태와 성질이 바뀐다고 하던데, 이것은 비단 음식만의 이야기는 아닌 것 같다. 자연에서 원료를 가져와 다양한 사물을 만드는 우리 인간은 모든 사물을 수단화하며 물건처럼 이용한다. '초가공' 식품처럼 우리는 '초상품' 시대를 살고 있다.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사물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사물을 돌과 같이 무심하게 놓여 있는 무생물로 보고 스쳐 지나가지 않았는가? 한 번도 유심히 살펴보지 않았던 대상을 문득 탐구할 대상으로 두면, 주변 풍경이 갑자기 낯설게 느껴진다. 이 전시는 '낯설게 하기' 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당연히 여겼..
프로젝트 소개 ,2021, 영상 는 HTML과 CSS를 활용해 저작권이 만료된 SF 도서 를 디지털로 구현한 작업이다. 매우 단순한 기능만으로 책의 목차, 주요 내용, 그리고 (약간의) 인터랙티브한 요소들을 담아 사용자에게 책을 탐색하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려 3년전 재학시절 만들었던 웹페이지다... 구성 워낙 단순해 설명하기 민망할 정도지만, 세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헤더: 책 제목과 저자 이름을 나타내는 영역- 본문 - 책의 각 챕터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포함한 목차 영역 - Bookup을 이용한 360도 돌아가는 책 목업 영역 - 챕터별 텍스트 영역- 푸터: 텍스트 출처나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영역 작업과정 우선 를 읽고 생각난 이미지들을 스케..